DLP: Digital Light Processing(마스크 투영 이미지 경화방식)

CODEDRAGON Development/3D Printing

반응형

   

   

   

마스크 투영 이미지 경화방식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 1987년 미국의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의 래리 호른백(Larry Hornbeck)에 의하여 개발
  • DMD 소자를 이용해 빛을 반사하여 음영을 표현하는 빔 프로젝터의 원리와 동일

   

   

DMD(디지털 소형 거울 장치)

  • 정지 화면과 문자 정보, 도면 등과 같은 고정 버튼을 장시간 계속해서 표시해도 다른 표시 방식에서 발생하는 달라 붙는 현상은 발생 하지 않는다. 또 자계의 영향에 의한 색 번짐이나 화상의 일그러짐도 없고, 본래의 화상과 영상을 정확히 재현해 주는 데 사용합니다.
  • 미세한 전기 반발력을 사용하여 소형 거울을 움직이는 하나의 유닛을 필요한 화소수 만큼 배열한 일종의 모듈입니다.
  • DMD의 거울은 1개의 화소를 대표하며, 이러한 거울 수백만 개가 1개의 DMD칩에 내장되어 있습니다.
  • 각 거울은 약 10~12도의 광학 기울기 변화량을 가지며 이를 통해 해당 화소에 대한 밝기를 조절하게 됩니다.
  • 0과 1로 나뉘기 때문에 중간 밝기를 표한하기는 어렵습니다. 부득이하게 밝기를 조정해야 할 경우, 각 거울의 반응 시간은 마지막 신호 입력으로부터 적어도 1ms 보통 0.25ms 이므로 펄스 폭 제어 디밍 방식을 통해 중간 밝기를 구현합니다. 이때문에 선형적이지 않고 어두우면 완전히 어둡거나 밝은 구간에 가까워지면 급격히 밝아지는 현상이 있습니다. 최근의 DLP 프로젝터는 이를 드라이브 칩셋에서 자동으로 보정해 줍니다.

   

   

   

원리

  • 액체 상태의 광 경화성 수지에 프로젝터(Digital Light Projector)에서 투사되는 을 제작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투사하여 조형물을 경화한 후에, 계속 적층하여 제작하는 방식

   

  • 액상 수지를 재료로 하고 광경화를 이용하는 점은 SLA와 유사
  • 차이점은 SLA가 레이져를 이용하여 한 단면층의 형태를 그려내야 하는 반면 DLP의 경우는 프로젝터 라이트가 하나의 단 면층 전체를 한번에 조사하는 방식

   

   

   

DLP 출력 방식의 원리 (단면도)

   

   

   

   

   

   

   

   

DLP 출력 방식의 원리 (입체도)

   

   

특징

  • SLA와 비슷하지만 레이저가 아닌 빔 프로젝트로 면 단위 조형을 하므로 비교적 빠른 조형속도
  • 광원으로 빔 프로젝터의 디지털라이트 사용
  • 세밀한 표면조도와 정밀도 있는 조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귀금속, 보석분야에 유용)
  • 포토폴리머(레진)라는 액상수지 사용

 

 

 

단점

  • SLA와 마찬가지로 원료와 색상이 제한적이고 비싸다(고가의 재료)
  • 다른 3D프린터에 비해 제작 가능한 조형의 크기가 작다.
  • 출력물의 지지대를 정밀하게 제거해야한다.
  • 주기적으로 받이통 교체
  • 냄새

   

   

   

   

   

images.googl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