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DRAGON ㆍSecurity/Network
IP 프로토콜(IP Protocol)
·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에 관한 프로토콜
· 보내고자 하는 자료를 패킷으로 쪼갭니다.
· 목적지 주소를 지정합니다.
· 쪼개진 패킷을 목적지 주소까지 운반합니다.
IP 데이터그램의 구조
IP 데이터그램은 헤더와 사용자데이터 필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필드 | 설명 | 
| Header | Header는 20Byte에서 최대 60Byte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주소정보와 Fragmentation 정보, 데이터그램의 크기 및 헤더 크기 그리고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 등에 대한 정보를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 
| Data | 상위 계층에서 만들어진 헤더와 데이터가 저장됩니다. | 
| 필드 | 설명 | 
| 버전(Version) | · IP 프로토콜의 버전 (현재버전IPv4) | 
| 헤더길이(Header Length) | · IP 헤더의 길이 · 헤더의 최소길이20Byte ~ 최대길이60Byte | 
| 서비스유형(TOS : Type Of Service) | · 라우터들이 처리할때 QOS(QualityOf Service)에 대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 · 3Bit의 우선권필드(Precedence)와 4Bit의 TOS 필드, 그리고 값이 0인 사용되지않는 1Bit로 구성 | 
| 전체길이(total length) | · 16 Bit로 65,535 까지 표현 · IP 데이터그램의 전체길이를 Byte 단위로 표시 · 데이터길이 = 전체길이 – 헤더길이 | 
| 식별(Identification) | ·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그램을 유일하게 식별 | 
| 플래그(Flag) | · IP 데이터그램의 단편화(Fragmentation)에 대한 정보를 위해 두개의 하위항목을 가지고 있습니다. · 데이터그램이 쪼개어질 수 있는 지에 대한 여부 항목 · 데이터그램이 조각났을 때 뒤에 다른조각이 있는지에 대한 여부 항목 | 
| 플래그옵셋(Flag Offset) | · 단편화된 조각들을 하나의 데이터그램으로 합칠때 전체데이터그램에서의 위치표시 | 
| 수명시간(TTL : Time To Live) | · 데이터그램이 지날 수 있는 라우터의 수에 대한 생존시간 | 
| 프로토콜(Protocol) | · IP 데이터그램의 사용자 데이터에 입력된 상위계층의 프로토콜을 표시 | 
| 헤더검사(Header Checksum) | · IP 헤더의 손상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용도 | 
| 목적지주소(Destination IP Address) | · 목적지 IP 주소 저장 | 
| 발신지주소(Source IP Address) | · 발신지 IP 주소 저장 | 
TOS 항목 구성 도식도
| TOS bits | 설명 | 
| D | 최소지연(Minimize delay) | 
| R | 최대신뢰성(Maximize reliability) | 
| T | 최소처리량(Maximize throughput) | 
| C | 최소비용(Minimize cost) | 
'Securit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웹 시스템(Web System) (0) | 2018.08.13 | 
|---|---|
| RFC 2577 - FTP Security Considerations (0) | 2018.08.02 | 
| Introduction to Networking: How the Internet Works (0) | 2018.07.13 | 
| pscp - 윈도우용 scp 프로그램 (0) | 2018.07.03 | 
| IP Subnet Calculator (0) | 2018.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