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lgorithm, DataStructure(96)
-
The Raft Consensus Algorithm
The Raft Consensus Algorithm https://raft.github.io/
-
배열(array)의 장단점
배열(array)의 장단점
-
VISUALGO - 싱가폴 대학에서 만든 알고리즘 학습 사이트
VISUALGO· 싱가폴 대학에서 만든 알고리즘 학습 사이트· 알고리즘을 시각적으로 학습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서비스· 컨트롤과 키보드를 통해 알고리즘의 수행 상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visualgo.net/ 맨처음에 있는 Sorting 알고리즘 카테고리를 선택한 경우가장 상단에 보면 Sorinting 카테고리에 속하는 알고리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알고리즘을 선택한 후 좌측 하단에 보면 이 알고리즘으로 조작할 수 있는 메뉴가 오픈됩니다. 오른쪽에는 알고리즘이 수행되고 있을 때의 코드 변화를 표시해줍니다.위의 녹색은 설명이고 아래의 파란색은 코드부분입니다. 코드 부분은 특정 언어에 국한 되지 않고 모든 언어를 포괄할 수 있도록 pseudocode코드형태로 표시되어 집니다..
-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Sequence)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Sequence)피보나치 수열의 항들을 피보나치 수(Fibonacci Number)라고 부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D%94%BC%EB%B3%B4%EB%82%98%EC%B9%98_%EC%88%98https://namu.wiki/w/%ED%94%BC%EB%B3%B4%EB%82%98%EC%B9%98%20%EC%88%98%EC%97%B4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하며, 다음 피보나치 수는 바로 앞의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됩니다.0,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2584, 4181, 6765, 10946, …
-
List vs Set vs Map
List vs Set vs Map
-
TreeMap<K, V> 클래스, Class TreeMap<K,V>, TreeMap의 생성자
TreeMap 클래스 · 이진검색트리(binary search tree)의 형태로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검색과 정렬에 적합한 컬렉션 클래스입니다.· 키들의 모임을 얻어와야 키를 순차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 navigableKeySet 메소드는 키들이 모여있는 컬렉션 인스턴스의 참조 값을 반환합니다.· HashSet 이나 HashMap을 사용하던 도중 정렬기능이 필요할 때 정렬 기능을 지원해주는 TreeSet이나 TreeMap으로 변환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TreeSet의 경우에는 Comparator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해서 사용자가 직접 정렬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Class TreeMaphttps://docs.oracle.com/javase/8/do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