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Database(491)
-
DBMS 활용
DBMS 활용· 국내의 경우 정보통신망 구축이 가속화하면서 '90년대에는 기업내부 데이터베이스(Inhouse DB)는 기업 경영 전반에 관한 자료를 연계하여 경영활동의 기반이 되는 전사 시스템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무역, 통관, 물류, 조세, 국세, 조달등 사회간접자본(SOC; Social Overhead Capital)차원에서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전자문서교환)활용이 본격화되면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는 공공DB로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인프라로서 관련 산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최근 정부에서는 범국가적인 공공데이터 개발(공공부문)과 이용활성화(민간부분)전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컬럼명 생략하여 데이터 추가
컬럼명 생략하여 데이터 추가· 테이블의 모든 컬럼에 자료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컬럼 목록을 기술하지 않아도 됩니다.· VALUSE절 다음의 값들이 테이블의 기본 컬럼 순서대로 입력되게 됩니다.· 테이블의 컬럼 순서는 CREATE TABLE로 테이블을 생성할 때의 순서를 따릅니다.
-
RDBMS vs NoSQL
새로운 저장 기술이 등장· 인터넷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가 수집 가능해짐에 따라,· 비정형 데이터의 처리 등에 어려움이 생겨 기존의 데이터 저장 구조가 한계에 달하였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저장 기술인 NoSQL이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RDBMS vs NoSQL·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과 NoSQL를 비교하여 어떤 차이점은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 기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대규모 데이터 처리에 운영 환경, 기능, 성능면에서 확장성 혹은 고비용 문제가 따릅니다. 그래서 클라우드 분산 환경에서는 부적합합니다. 반면, NoSQL은 클라우드 및 웹 환경의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며합니다.· NoSQL은 기존 RDBMS를 원전히 대체하는 것..
-
객체지향형 DBMS
객체지향형 DBMS · 정보은닉, 상속성, 다형성 등 객체지향의 특징을 가집니다. · 계층형 트리 구조를 확장한 형태로, 망(네트워크; network)으로 구성된 모델형태입니다. https://bit.ly/2Iqli9G
-
프로시저 삭제
프로시저 삭제 · DROP PROCEDURE 명령을 사용하여 기존 프로시저를 삭제합니다. · 트리거와 같은 다른 오브젝트가 참조하고 있는 경우 프로시저를 삭제할 수 없습니다.
-
DBMS 연동 도식도
DBMS 연동 도식도 여러언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을 입력파일을 데이터을 읽어들여 CRUD를 수행하는 SQL쿼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 저장된 데이터는 다시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읽어 들여 원하는 형태의 출력파일로 다시 저장되어 활요됩니다. 사용자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요청을 보내면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SQL을 이용하여 읽어오게 됩니다. 데이터들은 모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관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