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Database(491)
-
[Oracle] 오라클에 Boolean형 자료형 저장하기
오라클에 Boolean형 자료형 저장하기 오라클에는 Boolean 자료형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True 혹은 False만 저장이 되므로 True와 False를 "1"과 "0"을 사용하여 CHAR(1) 타입으로 저장을 하면 됩니다. Boolean형 자료형을 가지는 테이블 생성하기 CREATE TABLE booleantest ( id VARCHAR2(10), name VARCHAR2(20), verified CHAR(1) CONSTRAINT booleantest_verified_CK CHECK(verified = '0' OR verified = '1') ); CREATE TABLE booleantest ( id VARCHAR2(10), name VARCHAR2(20), verified CHAR(1) C..
-
Dbeaver 데이터베이스 접속 설정하기 - Dbeaver - Oracle 접속 설정하기, Dbeaver - MySQL 접속 설정하기
Dbeaver 데이터베이스 접속 설정하기· Dbeaver - Oracle 접속 설정하기· http://codedragon.tistory.com/6083· Dbeaver - MySQL 접속 설정하기· http://codedragon.tistory.com/6088
-
Dbeaver - Oracle 접속 설정하기
Dbeaver - Oracle 접속 설정하기 [New Connection] [Oracle] 선택 >> [Next] 아래와 같이 설정 후 >> [Next] Host: localhost Database: ORCL User name: codelab Password: oralce_11g [Next] Connection name: 항목에 표시할 이름 수정 >> [Finish] Oracle - codelab 항목을 클릭 데이터베이스접속을 위한 드라이버 설정 창이 오픈됩니다. Oracle 데이터베이스가 설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Open Download Page] 버튼을 클릭하면 Oracle 사이트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드라이버 파일을 다운받으면 됩니다. 현재 Oracle 데이터베이스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Add ..
-
Dbeaver 설치하기 - DBeaver 설치파일 다운받기, DBeaver 설치파일 압축해제하기
Dbeaver 설치하기 · DBeaver 설치파일 다운받기 · DBeaver 설치파일 압축해제하기 · DBeaver 데이터베이스 접속 설정하기 DBeaver 설치파일 다운받기 홈페이지에서 [Download] 클릭 http://dbeaver.jkiss.org/ http://dbeaver.jkiss.org/download/ [Windows 64 bit (zip archive)] 링크 클릭 DBeaver 설치파일 압축해제하기 해당 압축파일을 선택한 후 >> 마우스 우클릭 >> [Extract Here(여기에 압축풀기)] 압축해제한 화면 dbeaver.exe 파일을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한 마법사가 진행됩니다. [액세스 허용]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한 마법사가 진행됩니다. Dbeaver 데이터베이스 접..
-
SQLite 설치하기 - SQLite 설치파일 다운받기, SQLite 파일 압축 해제
SQLite 설치하기· SQLite 설치파일 다운받기· SQLite 파일 압축 해제 SQLite 설치파일 다운받기상단의 [Download] 메뉴를 클릭www.sqlite.org/ 페이지를 "Precompiled Binaries for Windows" 내용의 항목이 보이도록 스크롤 합니다.해당 비트수에 맞는 zip 파일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그리고 sqlite-tools-win32-x86-xxxxxx.zip파일은 공통적으로 다운 받습니다.http://www.sqlite.org/download.html SQLite 파일 압축 해제다운 받은 zip 파일을 SQLite 폴더로 이동시킵니다. C:\CodeLab\SQLite sqlite-shell 폴더를 새로 만든 후 다운로드 받은 zip파일을 새로 생성한 sql..
-
[Oracle] EXEC(UTE ) - 프로시저 실행
EXEC(UTE )EXECUTE 문을 이용해 프로시저를 실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