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Database(491)
-
AUTO COMMIT & ROLLBACK
자동 COMMIT & ROLLBACK 사용자가 COMMIT이나 ROLLBACK명령어를 명시적으로 수행하지 않아도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COMMIT과 자동 ROLLBACK이 발생합니다. 구분자동 유무SQL*PLUS가 정상 종료된 경우자동 COMMITSQL*PLUS가 정상 비정상 종료된 경우자동 ROLLBACKDDL과 DCL 명령문이 수행된 경우자동 COMMIT장애가 일어난 경우(정전, 비정상동작)자동 ROLLBACK AUTO COMMIT DDL문에는 CREATE, ALTER, DROP, RENAME, TRUNCATE명령문이 있는데 이 명령문은 자동으로 COMMIT이 일어납니다.
-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 - COMMIT, ROLLBACK, SAVEPOINT
트랜잭션 제어 명령어(Transaction Control Language) 트랜잭션 제어어는 트랜잭션의 DML작업단위를 제어하는 명령어 COMMIT http://codedragon.tistory.com/4513 ROLLBACK http://codedragon.tistory.com/4514 SAVEPOINT http://codedragon.tistory.com/4515
-
NOT NULL 제약조건
NOT NULL 특정 컬럼은 반드시 값이 입력되도록 필수 입력 컬럼으로 지정하는 것 회원가입시 필수입력항목이 이에 해당됩니다. NOT NULL제약조건은 컬럼 레벨로만 정의할 수 있습니다. CREATE TABLE 테이블명( 컬럼명 데이터타입 NOT NULL, 컬럼명 데이터타입 NOT NULL, 컬럼명 데이터타입, 컬럼명 데이터타입 );
-
MERGE문
MERGE문 구조가 같은 두 개의 테이블을 하나의 테이블로 합치는 기능 기준 테이블에 자료가 존재하면, 새로운 값으로 갱신(UPDATE)되고, 존재하지 않으면 새로운 행으로 추가(INSERT) 됩니다. MERGE INTO 테이블명A USING 테이블명B ON(테이블명A.컬럼1=테이블명B.컬럼1) --기준 테이블에 자료가 존재하는 경우 WHEN MATCHED THEN UPDATE SET 테이블명A.컬럼1=테이블명B.컬럼1, 테이블명A.컬럼2=테이블명B.컬럼2, 테이블명A.컬럼3=테이블명B.컬럼3, ... 테이블명A.컬럼n=테이블명B.컬럼n, --기준 테이블에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WHEN NOT MATCHED THEN INSERT VALUES(테이블명B.컬럼명, 테이블명B.컬럼명, ...);
-
DELETE문, DELETE문 형식
DELETE문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 테이블의 기존 행을 삭제하는 명령문 DELETE문 형식 테이블을 삭제할 때 WHERE절에 특정 조건을 부여하여 원하는 행만 삭제할 수 있습니다. DELETE문에 WHERE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테이블에 있는 모든 행이 삭제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식;
-
UPDATE문, UPDATE문 형식
UPDATE문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서 사용 기존의 행을 수정하는 것 UPDATE문 형식 UPDATE 테이블명 SET 컬럼명1=값, 컬럼명2=값, … WHERE 조건식;어떤 행의 데이터를 수정할 것인지를 WHERE절의 조건으로 지정합니다. WHERE절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테이블에 있는 모든 행이 수정됩니다. 그러므로, WHERE절 사용 유무를 신중히 결정해야 합니다. 테이블에서 여러 개의 컬럼값을 변경하고자할 경우 SET절에 콤마(,)를 추가하여 컬럼=값을 나열해 주면 됩니다. UPDATE 테이블명 서브쿼리 WHERE 조건식;UPDATE문의 SET절에 서브쿼리문을 기술하면 서브 쿼리를 수행한 결과로 내용이 변경됩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테이블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