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Software Engineering(489)
-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요구사항 기술적 타당성 검토 4단계
요구사항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정보화사업 사전타당성분석 방법론 연구"(한국전산원 2004)에서 "기술적 타당성 분석에서는 적용기술의 적합성 및 기술실현의 가능성이 분석의 핵심적 내용이 된다."라고 명시하면서, 성능 및 용량산정의 적정성,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기술적 위험 분석을 언급하고 있다. 정보화사업 사전타당성분석 방법론 연구http://codedragon.tistory.com/4036 요구사항 기술적 타당성 검토 4단계· 1단계:성능 및 용량산정의 적정성· 2단계: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3단계: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4단계:기술적 위험 분석
-
APM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도구의 이해 - APM 정의, APM 유형
APM 도구의 이해 · APM 정의 · APM 유형 APM(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 정의 APM은 Application Performance Management(Monitoring)의 약자로서, 운영 중인 시스템에 대한 가용성 확보, 다운타임 최소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시스템 운영을 위하여, 부하량과 접속자 파악 및 장애진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능 모니터링 도구를 말한다. APM 유형 APM 유형은 크게 두가지(리소스, 엔드투엔드) 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해 볼 수 있다.
-
스네이크 표기법(snake_case), Underscore Case 표기법
스네이크 표기법(snake_case) · ≒ Underscore Case 표기법 · ≒ snake case ≒ 스네이크 케이스 ≒ 뱀 표기법 · 식별자를 이루는 단어들을 소문자로만 작성하고, 그 단어들은 언더스코어(_)로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
단위 변환 - Naver, Daum, Google
단위 변환 - Naver http://bit.ly/2yDuQa2 단위 변환 - Daumhttp://bit.ly/2PrlGGV 단위 변환 - Googlehttp://bit.ly/2OdG1Lc
-
프로그래밍 언어별 상속 차이- C++, JAVA, C#,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별 상속 차이- C++, JAVA, Kotlin, C#, Python 언어별 단일 상속(Single), 다중 상속(Multiple) 유무입니다.
-
프로그래밍언어에서의 참/거짓(true/false) 차이 - C/C++, JAVA, C#, python, JSON
프로그래밍언어별 참/거짓(true/false) 차이 - C/C++, JAVA, C#, python, Kotlin, JSON, JavaScript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true 값으로 1을, false 값으로 0을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대소문자의 구분 없이 True, TRUE, False, FALSE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언어도 존재합니다. 해당 언어별 차이를 확인 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