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8008)
-
시프트 연산자 - 시프트 연산자 종류, 비트연산의 특징
시프트 연산자(Shift Operator)bit단위의 연산처리를 수행하며 자료의 가공을 위해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여 값에 대한 변화를 일으키는 연산자입니다. 시프트 연산자 종류
-
개발 환경 구축 개요
eclipse를 통한 C프로그래밍 JDK 설치 http://codedragon.tistory.com/2348 eclipse 설치 http://codedragon.tistory.com/3917 시스템 환경변수 등록하기, Java 컴파일 환경 구성, Path설정 http://codedragon.tistory.com/2344 MinGW설치 MinGW설치 경로 환경변수에 추가 http://codedragon.tistory.com/2328 Eclipse CDT설치 http://codedragon.tistory.com/677
-
빈 객체에 속성 추가- 05.html
빈 객체에 속성 추가 소스 코드 //빈 객체 생성 var student = {}; //객체에 속성 추가 student.name = '홍길동'; student.hobby = '피아노'; student.specialty = '자바'; student.willjob = '프로그래머'; //in 키워드를 이용해서 객체내의 속성 존재 여부 체크 document.write( ('specialty' in student) + ' '); document.write(student.specialty + ' '); document.write(' ==================================== '); var output =''; for(var key in student){ output += key + ' : '..
-
Error-Could not write metadata
Could not write metadata for '/.org.eclipse.jdt.core.external.folders'. C:\javanAndroid\workspace_android\.metadata\.plugins\org.eclipse.core.resources\.projects\.org.eclipse.jdt.core.external.folders\.markers.snap (지정된 경로를 찾을 수 없습니다) 해결방법 workspace폴더안의 .metadata 폴더 삭제 후 이클립스 재시작
-
[Sublime Text] 탐색기 컨텍스트 메뉴에 Sublime text항목 표시하기
레지스트리에 해당 키 등록하기 시작 > 실행 (단축키 윈도우+R)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shell\ 경로로 이동 마우스 우클릭 > 새로 만들기 > 키(K) Open with Sublime Text 2 키 생성 > command 키 생성 아래 경로 처럼 키를 생성합니다. 기본값항목을 더블클릭하여 값 데이터에 아래 값을 복사후 붙여넣기 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C:\Program Files\Sublime Text 2\sublime_text.exe "%1" 레지스트리 설정 경로 둘 중 하나의 경로로 설정하시기 바랍니다. 설경 경로1 키경로 HKEY_LOCAL_MACHINE\SOFTWARE\Classes\*\shell\Open with Sublime Text..
-
비트 연산자-OperatorEx10.java
비트 연산자 소스코드 public class OperatorEx1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비트 연산자========="); System.out.println(""); byte a = 12; // 128 64 32 16 8 4 2 1 // 0 0 0 0 1 1 0 0 byte b = 20; // 128 64 32 16 8 4 2 1 // 0 0 0 1 0 1 0 0 System.out.println("비트단위의 AND(&): "); /* 값1 값2 결과 0 0 0 1 0 0 0 1 0 1 1 1*/ byte c = (byte) (a & b); // 128 64 32 16 8 4 2 1 // 0 0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