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8008)
-
태그
태그의 구성 요소 복합 태그 내용 속성을 가지는 태그 내용 단독 태그사용 예여러분을 HTML 강의를 시작합니다! 태그 사용 규칙 과 같이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가 쌍으로 사용됩니다. 닫을 때는 태그명으로만 닫습니다. 태그명과 속성명, 속성명과 속성명 사이는 한 칸씩 띄웁니다. 그 외 공백을 두어서는 안 됩니다. 속성명과 값은 = 부호를 사용하여 표시합니다. 값이 두 단어 이상일 경우는 ""로 묶어서 표시합니다. 속성이 있는 태그가 있고 없는 태그가 있습니다. 속성을 반드시 하나 이상 사용해야 하는 태그도 있고 생략해도 되는 태그도 있습니다. 여는 태그만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태그도 있습니다. 태그를 중첩해서 사용할 경우 먼저 열어준 태그를 나중에 닫아줍니다. 태그 사용 예 환영합니다! 하늘은 높고 바람은 ..
-
참조 타입 확인- 18.html
참조 타입의 특성 숫자, 문자열, 불린값, null, undefined같은 기본 타입을 제외한 모든 값은 객체. 따라서 배열, 함수, 정규표현식 등도 모두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객체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참조타입이라고 부릅니다. 참조 타입인 객체는 여러 개의 프로퍼티들을 포함(기본 타입은 하나의 값만 가짐)합니다 객체의 프로퍼티는 기본 타입의 값을 포함하거나, 다른 객체를 가리킬 수 있습니다. 객체의 모든 연산은 실제 값이 아닌 참조값으로 처리됩니다. 소스코드 생성자 함수를 이용한 객체 생성 //생성자 함수 function Person(name){ this.name = name; } //객체 생성 var mySon = new Person('홍길동'); //출력 document.write(m..
-
CSS Color Names
CSS Color Names http://www.w3schools.com/cssref/css_colornames.asp [ff0000]빨[ff8c00]주[ffff00]노[008000]초[0000ff]파[4b0082]남[800080]보
-
정수 실수 표현 방식-VariableEx03.java
정수 실수 표현 방식 숫자표현형태A0E(16진수)0xA0E752(8진수)0752752(10진수)7521.7+31.7e+31.7-31.7e-3 소스코드 public class Variable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0xA0E; //A0E(16진수) int num2=0752; //752(8진수) int num3=752; //752(10진수) //지수형식 표시하기 위해 e표기법 사용 //자바에서는 e표기법 지원함 double e1=1.7e+3; //1.7+3 double e2=1.7e-3; //1.7-3 System.out.println(num1); System.out.println(num2); System.out.println(nu..
-
Sencha, JavaScript Source File(.js)만 인코딩 - 인코딩 방식 설정 방법 2
JavaScript Source File(.js)만 인코딩 설정하기 메뉴 > Window > Preferences > General-Context Types > Content types:-Text-JavaScript Source File 선택 Default encoding: UTF-8 입력 > Update > OK 이제 부터 새로 만들어지는 js파일은 UTF-8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app3.js생성 후 등록정보 확인
-
double형 변수의 선언과 활용- VariableBoolean01.java
double형 변수의 선언과 활용 소스코드 public class VariableBoolean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자료형은 true/false만 저장가능 boolean b1=true; boolean b2=false; System.out.println(b1); System.out.println(b2); //연산의 결과에 의한 true/false출력 System.out.println(710); } } 출력결과 결과값이 33.0000003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정확한 결과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자료형의 표현방식의 차이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