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5066)
-
자동형 변환을 통해 문자의 유니코드 값 출력-CastEx01
자동형 변환을 통해 문자의 유니코드 값 출력 소스코드 public class CastEx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ch1='A'; char ch2='Z'; int num1=ch1; int num2=(int)ch2; System.out.println("문자 A의 유니코드 값: "+num1); System.out.println("문자 Z의 유니코드 값: "+num2); } } 출력결과
-
Fashion and IT, 패션과 IT
IT패션의 변화 개성과 멋을 표현하는 패션이 최첨단 IT기술과 만나 새로운 의복으로 탄생중... 이전이후웨어러블 IT기기에서 패션을 다소 가미한 것패션의 중심에서 IT기술 적용 스마트 팔찌 스마트 목걸이 충전용 배터리 내장 가방 스마트 반지 MOTA SmartRing https://d2pq0u4uni88oo.cloudfront.net/projects/1156232/video-446434-h264_high.mp4 2014년 SXSW에 미래형 패션이 많이 등장 SXSW South by SouthWest, 세계적 엔터테인먼트 축제 http://sxsw.com/ 이미지 출처: images.google.com 키워드 검색
-
시멘틱 태그- 01.html
시멘틱 태그 sematic 무의미한 태그가 아니라 '의미를 갖는다'는 뜻으로, 각 태그가 스스로 의미를 지닌다는 뜻 시멘틱 태그 태그설명header사이트에 대한 소개 정보나 메인 메뉴, 사이트 로고 등이 포함됨hgroup제목과 부제목을 묶는 역할nav사이트나 메뉴나 링크 같은 내비게이션 요소들이 포함section실제 문서 내용이 들어감article문서 내용이 많을 경우 여러 개의 요소로 나눌 수 있음aside문서의 주요 내용 외의 내용들을 넣어 문서의 주 영역 주변에 배치footer작성자 정보나 저작권 정보, 또는 관련 문서 링크 등 부가 정보들을 담고 있음 표현을 위한 태그 태그설명mark특정 텍스트를 강조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태그 소스코드 대한 대학교 홈페이지 세계를 향상 지식의 공간 1학년 2학년..
-
접미사를 사용한 상수표현방식 변경- ConstEx03
접미사를 사용한 상수표현방식 변경 소스코드 public class Const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ouble e1=3.14159; //3.14기본이 double형 자료형을 가집니다. float e2=3.14159F; //e2가 float형 자료형이기 때문에 F를 붙여 명시적으로 float형으로 표현해야 줘야 합니다. long n1=10000000000L; //10000000000은 int형으로 표현 불가능한 long형 자료형이지만 //L을 붙이지 않으면 int형으로 인식하므로 long자료형으로 명시적으로 저장해 줘야 합니다. //명시적으로 접미사L을 붙여 long형 상수 표현을 의미하도록 해줍니다. long n2=150; System.out..
-
자료형으로 표현되는 상수- ConstEx02
자료형으로 표현되는 상수 소스코드 public class ConstEx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int num1=10000000000; //num1에 저장불가 (컴파일 에러:The literal 10000000000 of type int is out of range ) //10000000000을 int형에 저장하려고 할 때 int형 저장공간보다 크므로 에러가 발생 // long num2=10000000000; //컴파일 에러(The literal 10000000000 of type int is out of range) //충분히 담을 수 있는 long형 자료형 변수를 선언한 후 저장 시도 //10000000000 자체가 int형으로 표현 불가능..
-
객체 비교- 19.html
객체 비교 기본타입의 경우 값 자체를 비교해서 일치 여부를 판단하며 객체와 같은 참조 타입의 경우 참조값이 같아야 true가 됩니다. 소스코드 출력결과 참조 도식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