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39)
-
% 연산자- OperatorEx14
% 연산자 소스코드 public class OperatorEx1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실수형 연산 System.out.println("정수형 나머지: " + 7%3); //실수형 연산의 결과가 나오지만 의미없는 값이 되므로 //피연산자에 실수형 연산자가 나오는 %연산자 수식은 잘못된 것입니다(무시). System.out.println("실수형 나머지: " + 7.2 % 3.0); } } 출력결과
-
/연산자 연산-OperatorEx13
/연산자 연산 소스코드 public class OperatorEx1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정수형 연산 System.out.println("정수형 나눗셈: " + 7/3); //실수형 연산 System.out.println("실수형 나눗셈: " + 7.0f/3.0f); //실수형 연산이 이뤄지면 연산자 우선순위를 통해 아래와 같이 연산이 수행됩니다. //(float)7 -> 7.0f //7.0f/3 -> 7.0f/3.0f System.out.println("형변환 나눗셈: " + (float)7/3); } 출력결과
-
대입연산자와 산술연산자- OperatorEx12
대입연산자와 산술연산자 소스코드 public class OperatorEx1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대입연산자 //오른쪽의 값을 왼쪽의 변수에 저장하게 됩니다. int n1 = 7; //변수 선언 및 초기화 int n2 = 3; int result = n1 + n2; System.out.println("덧셈 결과: "+result); result = n1 - n2; System.out.println("뺄셈 결과: " + result); System.out.println("곱셈 결과: " + n1*n2); System.out.println("나눗셈 결과: " + n1/n2); System.out.println("나머지 결과: " + n1%n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