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445)
-
실수 자료형 선택 기준 (float vs double)
실수 자료형 선택 기준 (float vs double) float와 double 모두 매우 충분한 표현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이 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정밀도가 다릅니다. 따라서 필요한 정밀도를 바탕으로 자료형을 결정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double 자료형 선택을 권장합니다.
-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 - 논리 연산자 종류, 논리 연산자 결과
논리 연산자(logical operator) · 불린 연산(Boolean Operation)이라고도 합니다. · 참과 거짓으로 이루어지는 진리값이 피연산자인 연산자입니다. · true나 false인 논리 값을 가지고 다시 한번 조건 연산하는 연산자입니다. · 하나 이상의 처리 조건이 있어야 하며 먼저 처리되는 조건에 따라 다음의 처리 조건을 처리할지 안 할지를 결정하는 논리적인 연산자입니다. 논리 연산자 종류 AND 연산과 OR 연산은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입니다. NOT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단 하나뿐인 단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의 결합 방향은 오른쪽에서 왼쪽입니다.
-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
산술 연산자(arithmetic operator) · 4칙 연산(+, -, *, /)과 나머지 값을 구하는 연산자(%)를 지칭합니다. · 산술 연산자는 모두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입니다. ·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입니다.
-
상수
데이터 표현표현되는 데이터는 변수 아니면 상수로 표현되어 집니다. 상수(constant)· 자료형으로 표현되는 상수 (리터럴 상수)· 사용자 정의 상수 자료형으로 표현되는 상수 특징(리터럴 상수)· 리터럴(literal)이란 그 자체로 값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변수와 마찬가지로 상수도 메모리 공간에 저장이 됩니다.· 다만 이름이 존재하지 않으니 값의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상수는 존재 의미가 없어지면 바로 소멸됩니다.· int, double과 같은 자료형은 데이터 표현의 기준이며 따라서 변수뿐만 아니라 상수의 데이터 저장 및 참조의 기준이 됩니다. 상수의 표현 자료형
-
실수 선언 및 메모리 저장 및 참조 도식도 예제-VariableDouble02.java
실수 선언 및 메모리 저장 및 참조 도식도 예제 실수 선언 및 메모리 저장 및 참조 도식도 출력결과 소스코드public class VariableDouble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실수형 변수 선언 double num1; //변수 초기화 num1=11.0000001; System.out.println(num1); }}
-
Error - Lambda expressions are allowed only at source level 1.8 or above 해결방법
오류메시지 JDK/JRE 1.8이상에서면 람다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Lambda expressions are allowed only at source level 1.8 or above 해결방법 1 [Change project compliance and JRE to 1.8] 클릭 해결방법 2 프로젝트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Properties] >> [Java Compiler] >> Compliler compliance level:항목의 버전을 1.8이상으로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