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481)
-
문자 자료형 char - VariableEx04.java
문자 자료형 char 문자표현을 위한 문자셋으로 자바에서는 유니코드 기반으로 표현하게 됩니다.(문자 하나를 2바이트로 표현하는 유니코드 기반으로 표현) 유니코드는 전 세계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코드 집합입니다. 문자는 작은 따옴표(')로 표현합니다. 문자는 char형 변수에 저장되고 저장 시 실제로는 유니코드 값 저장됩니다. 소스코드 public class VariableEx0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컴퓨터는 문자를 표현할 수 없으므로 //2byte공간에 대응되는 문자의 유니코드 값으로 자동 변환됩니다. char ch1='A'; //'A'은 16진수로 0x41 char ch2='한'; //'한'은 16진수로 0xD55C char ch3=546..
-
정수 실수 표현 방식-VariableEx03.java
정수 실수 표현 방식 숫자표현형태A0E(16진수)0xA0E752(8진수)0752752(10진수)7521.7+31.7e+31.7-31.7e-3 소스코드 public class VariableEx0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0xA0E; //A0E(16진수) int num2=0752; //752(8진수) int num3=752; //752(10진수) //지수형식 표시하기 위해 e표기법 사용 //자바에서는 e표기법 지원함 double e1=1.7e+3; //1.7+3 double e2=1.7e-3; //1.7-3 System.out.println(num1); System.out.println(num2); System.out.println(nu..
-
double형 변수의 선언과 활용- VariableBoolean01.java
double형 변수의 선언과 활용 소스코드 public class VariableBoolean0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olean자료형은 true/false만 저장가능 boolean b1=true; boolean b2=false; System.out.println(b1); System.out.println(b2); //연산의 결과에 의한 true/false출력 System.out.println(710); } } 출력결과 결과값이 33.0000003이 아니라 아래와 같이 정확한 결과값이 나오지 않습니다. 이는 자료형의 표현방식의 차이때문입니다.
-
IEEE 754-부동소수점 표현
IEEE 754 IEEE 754는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IEEE)에서 개발한 컴퓨터에서 부동소수점를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산업표준입니다. http://ko.wikipedia.org/wiki/IEEE_754 http://en.wikipedia.org/wiki/IEEE_754-1985
-
Android L의 새로운 UI- Material design
Android L Preview http://youtu.be/Q8TXgCzxEnw Intro To Material Design http://youtu.be/p4gmvHyuZzw
-
제어문
제어문 실행흐름의 컨트롤 프로그램의 흐름에 영향을 주고 경우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제어문'입니다 제어문의 구성도 제어문의 종류 분기문 (비교문)(Branch statement) 주어진 조건의 결과에 따라 실행 문장을 다르게 하여 전혀 다른 결과를 얻기 위한 제어문. if문, switch문 반복문(Repetitive statement) 특정한 문장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반복처리하기 위한 제어문. 모든 반복문은 무한루프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 for문, while문, do~while문 break문 반복문내에서 쓰이며 반복문을 빠져나갈 때 쓰이는 제어문. continue문 현재 진행되는 반복 회차를 포기하고 다음 회차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