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I(891)
-
우도(Likelihood)
우도(Likelihood) · ≒ 가능도 · 확률의 반대 개념 · 주어진 현상이 있을 때, 이 현상이 추출될 가능성을 가장 높게 하는 모수 추정법입니다. · 확률 분포의 모수가, 어떤 확률변수의 표집값과 일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구체적으로, 주어진 표집값에 대한 모수의 가능도는 이 모수를 따르는 분포가 주어진 관측값에 대하여 부여하는 확률입니다. · 가능도 함수는 확률 분포가 아니며, 합하여 1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https://bit.ly/2spg9DR
-
타이타닉호 탑승객의 생존 여부를 나타내는 결정 트리
타이타닉호 탑승객의 생존 여부를 나타내는 결정 트리· 의사결정나무 모델을 통해 대표적인 분석 사례입니다.· 생존율 예측과 같이, 특정한 규칙과 패턴을 토대로 데이터를 분류하는데 사용됩니다.
-
인공지능, 기계학습 분야의 알고리즘
인공지능, 기계학습 분야의 알고리즘인공지능, 기계학습 분야에서 개발된 ID3, C4.5, C5.0 알고리즘들이 있습니다.
-
최소제곱법(OLS; ordinary least squares)
최소제곱법(OLS; ordinary least squares) · 가장 기본적인 결정론적 선형 회귀 방법입니다. · 잔차제곱합(RSS: Residual Sum of Squares)를 최소화하는 가중치 벡터를 행렬 미분으로 구하는 방법입니다. https://bit.ly/2IXM08F
-
NOSQL(Not Only SQL)
NoSQL· Not Only SQL의 약자· 기존 RDBMS 형태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 기술을 의미합니다. (Non-Relational Operational Database SQL)· RDBMS 제품군(MS-SQL, Oracle, Sybase, MySQL등) 과 같이 공통된 형태의 데이터 저장 방식(테이블)과 접근 방식(SQL)을 갖는 제품군이 아니라 RDBMS와 다른 형태의 데이터 저장 구조를 총칭하며, 제품에 따라 각기 그 특성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NoSQL을 하나의 제품군으로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NoSQL은 기존의 방식에서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저장, 관리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여 개선, 보완하기 위해서 사용된 새로운 데이터 저장기술입니다. · 비관계형..
-
is.na()
is.na()· NA값인지를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NA가 저장되어 있으면 TRUE,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인자 설명 x 벡터, 리스트 등의 R 데이터객체 > codedragon is.na(codedragon) [1] FALSE > is.na(NA) [1] TRU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