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Software Engineering(489)
-
Summary -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 데이터 저장계층 또는 영속계층(Persistence Layer)에 대한 이해, 접근 지정자(Access modifier), 서버 프로그램 테스트하기
프레임워크에 대한 이해https://codedragon.tistory.com/5939 데이터 저장계층 또는 영속계층(Persistence Layer)에 대한 이해https://codedragon.tistory.com/6467https://codedragon.tistory.com/4758 접근 지정자(Access modifier)https://codedragon.tistory.com/2419 서버 프로그램 테스트하기 server localhost port 8080 context root /system type GET http://localhost:8080/system/test/testMethod.do?userIdx=315&userName=NCS jQuery를 통한 문서객체 접근 코드 예시HTML문서의 [비..
-
디자인 패턴 사용 이유
디자인 패턴 사용 이유· 소프트웨어 설계시 디자인 패턴을 고려하는 이유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객체 지향 설계 원칙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라이브러리 종류-표준라이브러리(standard library), 외부 라이브러리
라이브러리 종류 · 표준 라이브러리 · 외부 라이브러리 표준라이브러리(standard library) · 프로그래밍언어와 함께 제작사에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를 의미합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가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라이브러리를 의미합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여러 구현체에서 통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를 의미합니다. · 각 프로그래밍 언어의 표준 라이브러리는 여러 종류의 모듈과 패키지를 가지며, 표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면 별도의 파일 설치 없이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자바프로그래밍에서는 jar파일 형태가 대표적입니다. https://bit.ly/2HLtVt3 https://en.wikipedia.org/wiki/Standard_library 외부 라이브러리 · 외부 라이브러리..
-
인터프리터(Interpreter)
인터프리터(Interpreter)· 인터프리터 방식의 언어는 모두 인터프리터를 필요로 합니다.· 프로그램 문장을 하나씩 번역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매번 사용할때마다 변환해 주어야 합니다.· 고급언어로 작성된 원시코드를 한번에 한 줄씩 읽어 들여서 실행하는 프로그램· 소스 코드(source code)를 읽고 해석하여 수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컴파일 과정이 없기 때문에 개발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면 유용합니다.· 기계어 코드를 현재 시스템에서 돌아갈 수 있도록 에뮬레이션하는 역할· 실행 속도가 느리고 메모리 사용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https://bit.ly/2MdOQsUhttps://en.wikipedia.org/wiki/Interpreter_(computing)
-
소프트웨어를 배워야 하는 이유
What Most Schools Don't Teachhttps://www.youtube.com/watch?time_continue=1&v=nKIu9yen5nc5m 43s President Obama asks America to learn computer sciencehttps://www.youtube.com/v/6XvmhE1J9PY&autoplay=1&rel=01m 417s The Hour of Code is herehttps://www.youtube.com/v/FC5FbmsH4fw&autoplay=1&rel=02m 22s code.orghttps://code.org/
-
릴리즈 노트의 중요성
릴리즈 노트의 중요성· 릴리즈 노트에는 테스트 결과와 정보가 포함됩니다. 사용자에게 최종 배포된 릴리즈 노트를 보면 테스트가 어떻게 진행됐는지, 개발 팀의 제공 사양을 얼마나 준수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사용자에게 보다 더 확실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전체적인 제품의 수행 기능 및 서비스의 변화를 공유합니다.· 자동화 개념과 함께하여 적용하여 전체적인 버전 관리 및 릴리즈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릴리즈 노트 작성시 현재 시제로 작성되어야 하며 명확하고 정확하며 완전한 정보(을)를 제공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