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UI&UX(173)
-
Step2.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 1. 송수신 기관 간의 사전 협의를 통해 테스트 일정(기간), 방법, 절차, 환경, 환경 구축기간 등을 결정하고 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환경을 ..
Step2.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1. 송수신 기관 간의 사전 협의를 통해 테스트 일정(기간), 방법, 절차, 환경, 환경 구축기간 등을 결정하고 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 테스트 환경 및 테스트 수행을 위해 송수신 기관 간의 협의 시 일정 수립 및 준비사항에 ' 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환경 구축 점검 및 준비 사항'을 참고합니다. · 송수신 기관 간의 협의된 결과에 따라, 연계 서버(중계 서버) 및 송수신 어댑터(Adapter) 또는 에이전트(agent) 설치, 연계를 위한 아이피(IP: Internet Protocol) 및 포트(Port) 허용 신청, 연계를 위한 DB 계정 및 테이블과 데이터 생성 등 테스트 환경구축을 진행합니다. 2. 연계(인..
-
수행 내용 - 연계 테스트 및 검증하기
수행 내용 - 연계 테스트 및 검증하기 ♣ 수행 순서 Step1.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케이스(Testcase)를 작성 및 명세화 한다. Step2.연계(인터페이스) 테스트 환경을 구축한다. Step3.1항에서 작성한 테스트 케이스로 테스트를 수행하며, 테스트 수행 결과를 검증한다.
-
전송 구간(채널, Channel) 보안 - 전송 구간 암호화. 전용선과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전송 구간(채널, Channel) 보안전송 구간 암호화, 즉 채널 암호화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형식, 패킷(Packet)의 암·복호화로 네트워크에서 비인가자 또는 악의적인 사용자가 전송 데이터, 패킷을 가로채더 라도 쉽게 전송 데이터의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도록 합니다.전송 구간 암호화는 범위가 네트워크이므로 전송되는 전체 데이터에 적용됩니다. · 전송 구간 암호화· 전용선과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전송 구간 암호화전공 구간 암호화를 위해서는 전송 구간 암호화를 지원하는 가상 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 또는 유사 솔루션이나 연계 솔루션을 적용해야 합니다.채널 보안 솔루션, 가상 사설망 또는 연계 솔루션에서 지원하는 보안..
-
장애 및 오류의 확인과 처리 절차 - 장애 및 오류 확인 절차, 장애 및 오류 처리 절차, 장애 및 오류 현황 모니터링 화면. 장애 및 오류 로그(Log)
장애 및 오류의 확인과 처리 절차 장애 및 오류의 확인과 처리 절차
-
인터페이스(I/F, Interface) 테이블(Table) 또는 파일 생성, 인터페이스(I/F: Interface) 테이블 또는 파일 레이아웃(Layout) 설계, 송신 시스템. 수신 시스템
인터페이스(I/F, Interface) 테이블(Table) 또는 파일 생성연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Table) 또는 파일 형식으로 생성한다. 테이블과 파일 형식 여부는 적용하는 연계 솔루션(Solution)에서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의 구조(칼럼명 또는 속성명, 데이터 타입, 길이 등), 레이아웃(Layout)을 사전에 협의하여 정의한다. 정의한 단위 테이블 및 파일을 인터페이스라고 한다.인터페이스 테이블 또는 파일의 구조 및 레이아웃(Layout)은 '학습 1. 연계 데이터 구성'을 참고한다. 인터페이스(I/F: Interface) 테이블 또는 파일 레이아웃(Layout) 설계· 일반적으로 송신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테이블(파일)의 구조와 수신 시스템..
-
연계 메커니즘, 연계 메커니즘 구성 요소별 주요 기능 및 역할
연계 메커니즘 연계 메커니즘 구성 요소별 주요 기능 및 역할연계 메커니즘은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체계와 수신하여 운영 DB에 반영하는 수신체계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