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Network(167)
-
블루투스 통신 대역
블루투스 통신 대역·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인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합니다. ISM 대역은 산업, 과학 및 의료 목적으로 할당된 대역으로 전파 사용에 대한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어 저전력의 전파를 발산하는 개인 무선기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이외에도 무선랜(WiFi)과 지그비 (ZigBee) 역시 ISM 대역을 사용합니다.
-
Symbolics.com - 도메인 등록 실시간 확인
Symbolics.com새롭게 등록되고 있는 도메인을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http://symbolics.com/
-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Bluetooth)· 1994년 에릭슨(Ericsson)사에서 개발한 개인 근거리 무선 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을 위한 표준입니다.· 유선 연결 방법으로 흔히 사용되는 RS-232C를 대체하기 위해 저렴한 가격, 저전력의 무선 기술로 개발되었습니다.· 기본적으로 10m 이내 근거리에서의 통신을 목표로 하지만 통신 범위는 100m까지 확장이 가능합니다. http://bit.ly/2HTTc2khttps://en.wikipedia.org/wiki/Bluetooth https://www.ericsson.com/en https://www.bluetooth.com/
-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Parameters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 ParametersIANA의 ICMP 메시지 유형 필드 값과 의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iana.org/assignments/icmp-parameters/icmp-parameters.xhtml 직접 다운로드
-
HTTP vs HTTPS 포트
HTTP vs HTTPS 포트HTTP 서버 포트는 80번이고 HTTPS 서버 포트는 443번이 기본포트이며필요에 따라 다른 포트에 HTTP 및 HTTPS 서버가 동작하게 할 수 있습니다.
-
무선 랜 이용 방법, SSID(Service Set Identifier),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무선 랜 이용 방법무선 랜은 'Ethernet Like' 개념으로, 보통 내부 네트워크의 확장으로 이용합니다. 무선 랜을 사용하려면 내부의 유선 네트워크에 AP 장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SSID(Service Set Identifier)보통 유선 랜 장치들에 대한 네트워크 이름을 뜻합니다. AP의 이름으로 생각하면 됩니다.도메인 이름(Naming Handle, Domain Handle)을 처리하는 기능으로 접근 제어의 기본 수준을 제공합니다. 네트워크를 세그먼트로 분리하여 사용할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수신되는 신호의 강도를 가리키며 dBm 단위로 나타냅니다.dBm 단위는 1mW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전력을 나타낸값으로 AP에서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