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Network(167)
-
소켓 통신 도식도, 소켓 vs 전화
소켓 통신 도식도소켓을 만들고, 생성된 소켓을 통해 원격 호스트에 연결을 시도하면, 연결되는 즉시 로컬 호스트와 원격호스트는 각각 소켓으로 부터 입력 스트림과 출력스트림을 얻게 되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이 스트림(Stream)을 사용하게 됩니다. 소켓 vs 전화
-
소켓(Socket)을 통한 데이터 교환
소켓(Socket)을 통한 데이터 교환A가 B에게 무언가를 보낼 때는, 파일에 쓰는 것과 문법적으로 유사한 방식인 '소켓'을 사용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게 됩니다. 소켓을 호출하면, A는 보내고자 하는 B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명시해 줍니다. B 역시 소켓을 갖고 있으므로 해당 소켓을 사용해 A에게 응답을 보냅니다. 이를 A와 B 사이에 소켓으로 '커넥션(Connection)'이 이뤄졌다고 합니다.이러한 과정을 통해 물리적으로 변화가 생긴 것은 아니고, 단순히 A와 B 사이에 데이터를 교환하기로 합의된 것입니다.
-
TCP/IP, TCP/IP 특징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전송 프로토콜로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기종이 서로 다른 컴퓨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개발된 통신 프로토콜(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해 개발한 통신 프로토콜)· 앞의 TCP 부분과 뒤의 IP 부분의 프로토콜로 되어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이나 인터넷에서 자료를 전송할 때 패킷(packet)이라는 작은 묶음으로 전송하는데 TCP는 이 패킷들의 전송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IP는 그 패킷들을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TCP/I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두 가지 프로토콜이 있기 때문에 TCP/IP라고 부릅니다.· 네트워크인터페이스계층(Network Interface La..
-
TCP/IP에서 사용하는 주소 - Port Address(포트 주소), IP Address(인터넷 주소), Physical Address(물리주소)
TCP/IP에서 사용하는 주소 · TCP/IP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주소는 3개이며 TCP/IP 각 계층에서 다른 형태의 주소를 사용합니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사용하는 물리 주소, 인터넷 계층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주소, 전송계층에서 사용하는 포트 주소가 있습니다. Port Address(포트 주소)http://codedragon.tistory.com/3540 IP Address(인터넷 주소)http://codedragon.tistory.com/4067 Physical Address(물리주소)http://codedragon.tistory.com/5109
-
OSI 7 layer, OSI 7 계층도
OSI 7 계층국제표준화 기구에서 개발한 전세계적인 네트워크 표준 모델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물리(Physical) 계층, 데이터링크(Data link) 계층, 네트워크(Network) 계층, 트랜스포트(Transport)계층, 세션(Session) 계층, 표현(Presentation) 계층, 응용(Application) 계층의 총 7개의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입니다. OSI 7 계층도
-
네트워크(Network), 네트워킹(Networking),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Network) · '그물, 망' 또는 이들의 조직적인 구성을 의미 · 실시간으로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컴퓨터 및 다른 장치들의 집합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하고 서로 통신 할 수 있는 것' · 컴퓨터 상호 간의 정보 교환과 정보 처리를 위한 데이터 통신망을 의미 · 다른 장치로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컴퓨터들과 주변 장치들의 집합을 의미 · 즉, 인터넷으로 연결된 게 아닌, 내부적으로 여러 컴퓨터들이 연결된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경우는 보통 집에 있는 컴퓨터들이나 작은 기업체의 컴퓨터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보통 몇 가지 형태의 이더넷(Ethernet) 네트워크가 사용되어 집니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들을 노드(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