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Network(167)
-
DNS(Domain Name Server) 서비스, DNS 중요성
DNS(Domain Name Server)· DNS는 질의된 호스트 이름 또는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결정합니다. 결정자 프로세스는 DNS에 호스트 이름을 보내어 질의하고, 그에 대한 DNS의 응답을 수신하여 IP 주소를 결정하는 이름 결정(Name Resolution)을 클라이언트 호스트 측에서 수행합니다.· DNS는 사람들이 알기 쉬운 웹사이트 주소인 도메인 네임을 컴퓨터가 이해하는 IP address로 매핑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즉,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결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DNS 서비스는 다수의 네임서버들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계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DNS의 계층 구조는 Root Name Server에서 시작하는데, 전 세계를 통틀어 Root Name Serve..
-
이름 및 주소 결정 기능 활성화 방법 - 와이어샤크(Wireshark)
이름 및 주소 결정 기능 활성화 방법Wireshark 메뉴: [Edit] >> [Preferences…] >>[Name Resolution] >> [Resolve network(IP) addresses] 메뉴 항목을 체크 합니다.
-
RFC 3264 - An Offer/Answer Model with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RFC 3264 - An Offer/Answer Model with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https://www.ietf.org/rfc/rfc3264.txthttps://tools.ietf.org/html/rfc3264https://datatracker.ietf.org/doc/rfc3264/ 직접다운로드
-
인터넷(Internet),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컴퓨터 상호간에 통신
인터넷(Internet)· 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컴퓨터들의 집합· 통신망과 통신망을 연동해 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하는 인터네트워크 (interNETWORK)의 약어인 internetwork과 구별하기 위해 Internet과 같이 고유명사로 표기합니다.인터넷은 이름 자체가 의미하는 대로, 네트워크(Network) 간 연결을 의미합니다.· 인터넷의 네트워크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특정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의 일종인 '라우터'를 통해 한 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돼 있습니다.· 인터넷의 모든 컴퓨터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가집니다. 이는 숫자로 돼 있지만 www.google.com 과 같이 도메인 이름 서비스(DNS)를 통해 숫자로 된 주소를 ..
-
UDP(User Datagram Protocol), TCP/IP 스택 상의 UDP의 위치
UDP(User Datagram Protocol)·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서로 주고 받는 방식이 아닌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보내는 통신 프로토콜· 데이터그램 단위로 응용 프로토콜 엔티티(Entity) 사이에 데이터를 수송하는 비연결형(Connectionless) 트랜스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여기서 비연결형(Connectionless) 트랜스포트 서비스란 각 패킷의 출발지 호스트와 목적지 호스트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라우터들의 상태에 따라 임의의 가장 알맞은 라우터들을 통하여 데이터를 수송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즉, UDP는 데이터그램의 손실, 중복, 순서 뒤바뀜 등의 전송 오류를 복구하는 대책을 제공하지 않는 불안전한(Unreliable) 트랜스포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IP 프로토콜 스택에서 TCP의 위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 데이터를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나누고 포장하는 규약· 패킷이 목적지 주소에 올바른 순서로 도달하도록 제어합니다.· 연결지향형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입니다.· TCP는 출발지 포트와 도착지 포트 사이에 TCP 연결을 설정한 상태로 데이터를 수송하며, 데이터를 순서에 맞추어 수송합니다. 그리고 데이터가 빠지거나 중복되거나 변질됨이 없이 온전한 상태로 수송합니다. 패킷이 중간에 유실되지 않도록 합니다. 즉, 신뢰할 수 있는 프로토콜· 데이터를 상대측까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 메시지를 주고 받음으로써 데이터의 송수신 상태를 점검합니다· 웹서비스, FTP 서비스 등에서 사용· TCP – 전화와 비슷 TCP/IP 프로토콜 스택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