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I(889)
-
read.csv()
read.csv() · CSV 파일을 데이터 프레임으로 읽어들입니다. · 구분자로 콤마문자, 소수점으로 도트 문자를 사용한 파일을 읽습니다. read.csv( file, header=FALSE, na.strings="NA", stringsAsFactors=default.stringsAsFactors() ) file 파일명 header=FALSE · 파일의 첫 행을 헤더로 처리할 것인지 여부를 지정합니다. na.strings="NA" na.strings= c("NA") · 데이터에 결측치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R의 NA에 대응시킬 값을 지정합니다. · 기본값은 "NA"로, "NA"로 저장된 문자열들은 R의 NA로 저장됩니다. · na.strings에 지정하는 값은 벡터므로 여러 문자열을 벡터로 지정하면 벡..
-
State of Machine Learning and Data Science 2020 - kaggle
State of Machine Learning and Data Science 2020 - kaggle https://www.kaggle.com/kaggle-survey-2020 Gender Age Country Education Programming Experience Machine Learning Experience Pay Interactive Development Environments; IDE Methods & Algorithms frameworks cloud usage database usage 직접 다운로드 or https://bit.ly/32z66OL
-
xlim, ylim
xlim, ylim · 좌표축 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 plot()이 기본으로 지정하는 X, Y 축 값의 범위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래프에 그려질 x 값의 범위, y 값의 범위를 바꿔줄 수 있습니다. · xlim, ylim의 값은 c(최솟값, 최댓값) 형태로 지정합니다. c(최솟값, 최댓값) 데이터 값의 최소, 최대치 값 알아내기 min(), max() 함수에 na.rm=TRUE를 사용해 최솟값, 최댓값을 확인한 후 xlim, ylim옵션에 설정합니다.
-
axis()
axis() · 그래프의 축 그려주기 · outer margin이나 plot margin에 좌표축을 그리는 함수 axis(side, at = NULL, labels = TRUE, tick = TRUE, line = NA, pos = NA, outer = FALSE, font = NA, lty = "solid", lwd = 1, lwd.ticks = lwd, col = NULL, col.ticks = NULL, hadj = NA, padj = NA, ... ) 인자 설명 side 그래프의 어느 쪽에 축을 그릴지 지정하는 정수 값 방향 1 bottom(below) 2 left 3 top 4 right at 축의 눈금이 그려질 곳의 위치를 지정하는 점들 labels 축 눈금에 라벨 데이터를 입력하는 숫자형 벡..
-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 ≒ 평균 절대 백분율 오차 · ≒ 평균 절대 백분 오차 비율 · 정확도를 오차의 백분율로 표시됩니다. · MAPE는 백분율이기 때문에 다른 정확도 측도 통계량보다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MAPE가 5이면 예측 값은 평균 5% 벗어납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Mean_absolute_percentage_error
-
행렬(Matrix)
행렬(Matrix) · 행렬은 행(row)과 열(column)에 수를 배열하여 직4각형을 이루게 한 수의 집합을 말합니다. · 각 수들을 행렬의 원소 또는 성분이라고 말하며, 행렬은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는 물론 공학·물리학·경제학·통계학 등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습니다. · 역사적으로 처음에는 행렬이 아니라 행렬식 이라는 정방행렬과 연관된 수 값이 인식되었다가 점차 대수적인 것으로 행렬의 개념이 나타나게 되었고,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아서 케일리(Arthur Cayley)는 행렬이라는 용어를 도입하고 행렬의 대수적 개념을 발달시켰습니다. · 벡터와 마찬가지로 행렬에는 한 가지 유형의 스칼라만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요소가 숫자인 행렬은 가능하지만, ‘1열은 숫자, 2열은 문자열’과 같은 형태는 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