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학습(152)
-
LayoutManager - GridBagLayout
GridBagLayout GridLayout과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배치 관리자로 가장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GirdLayout은 하나의 셀에는 하나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데 GridBagLayout은 여러 셀에 걸쳐서 서로 다른 크기와 간격으로 하나의 컴포넌트가 배치될 수 있습니다. GridBagLayout을 사용하는 경우는 GridBagConstraints 클래스를 사용하여 배치를 시키게 됩니다. GridBagConstraints 클래스는 GridLayout으로 지정된 컨테이너에 컴포넌트가 얼마만큼의 영역을 차지하여 배치할 것인가에 대한 자세한 영역 구조에 대해 지정을 해줍니다.
-
LayoutManager - GridLayout
GridLayout 격자모양(모눈종이)의 가로와 세로가 같은 크기의 비율로 나누어져 있고 각 공간(셀)에 컴포넌트을 배치할 수 있는 관리자 컨테이너의 크기가 변경되면 컴포넌트들의 위치는 고정되고, 크기는 모두 동일한 크기로 변경합니다. GridLayout 배치 관리자를 만들 때 행과 열의 수를 지정하는데, 값은 0이상의 값을 지정하며 만약 0으로 지정하게 되면 무한대로 컴포넌트를 추가하여 붙일 수 있습니다. 행의 수가 열의 개수보다 붙이는 컴포넌트의 개수가 더 많은 경우는 행의 수를 우선으로 맞추게 됩니다.
-
LayoutManager - BorderLayout 배치 기준, 도식도
BorderLayout 컨테이너의 영역을 동, 서, 남, 북, 중앙으로 된 5개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컴포넌트를 배치하는 관리자 각 영역에는 하나의 컴포넌트만 배치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컨테이너의 크기가 변경되면 컴포넌트등의 위치는 고정되고 크기가 변하게 됩니다. 컴포넌트를 BorderLayout에 붙일 때 아무런 영역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CENTER영역에 붙이게 됩니다. CENTER영역은 다른영역에 아무것도 존재하지않으면 그 영역까지 포함해서 영역이 잡히게 됩니다. SOUTH, NORTH영역은 컴포넌트의 높이는 제대로 나타나지만 폭의 길이는 제대로 인정되지 않고 그 영역의 길이만큼 잡히게 됩니다. WEST, EAST영역은 컴포넌트의 폭의 길이는 제대로 나타나지만 높이는 제대로 인정되지 ..
-
LayoutManager - FlowLayout
FlowLayout 컴포넌트가 컨터이너에 한 줄로 배치되는 형태 가장 기본적인 레이아웃으로, 컴포넌트들이 추가되는 순서에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져나가며 한줄에 포함되지 않으면 다음줄로 내려가며 컨테이너의 크기에 따라 컴포넌트의 크기도 자동 조절됩니다. 컴포넌트들을 수평(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배치 합니다. 처음에 배치를 하게되면 상단, 중앙부터 배치가 되는데 배치를 하다가 더 이상 배치할 공간이 없으면 자동으로 다음 줄로 이동하여 배치하게 됩니다. 컴포넌트를 배치할 때 컴포넌트의 간격을 갭(gap)이라고 하는데 컴포넌트들 사이의 수평, 수직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의 크기가 변경되면 포함된 컴포넌트의 위치는 변하며 크기는 고정됩니다. 일정한 높이와 간격이 있는 컴포넌트를 가로..
-
LayoutManager (배치관리자, 레이아웃관리자), LayoutManager 종류
LayoutManager (배치관리자, 레이아웃관리자) · 보통 레이아웃(layout)을 지정하는 클래스를 레이아웃 관리자라고 합니다. · 컨테이너는 자기 자신에 컴포넌트를 붙일 때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배치하여 붙일 것인가를 이미 결정하고 있습니다. · 즉, 컨테이너들은 미리 정해진 레이아웃에 따라 컴포넌트들을 자동으로 배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객체를 배치관리자(LayoutMananger)라고 합니다. · 배치관리자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레이아웃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컴포넌트의 위치 및 크기를 관리해 주는 클래스 입니다. LayoutManager 종류 · FlowLayout · http://codedragon.tistory.com/4693 · BorderLayout · http://code..
-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 · ≒ 유클리디언 거리 ≒ L2 거리(L2 Distance) ·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계산할 때 흔히 쓰는 방법입니다. · 두 점 상의 직선 상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 유클리드 거리를 사용하여 유클리드 공간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거리에 대응하는 노름을 유클리드 노름(Euclidean norm)이라고 부릅니다. · "유클리디안 거리" 공식은 n차원의 공간에서 두 점간의 거리를 알아내는 공식입니다. http://bit.ly/38ordow https://en.wikipedia.org/wiki/Euclidean_distance 맨해튼 거리 ·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 선 · 선의 길이는 모두 12로 같습니다. · 길(블록)을 이용한 거리 계산 방식 유클리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