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AI(891)
-
카이 제곱 분포(Chi-Squared Distribution)
카이 제곱 분포(Chi-Squared Distribution) · ≒ x2분포 · 실제로 관찰된 빈도가 기대빈도와 얼마나 근접한지를 검정할 때 사용합니다. · 주로 명목척도로 측정된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할 때 사용합니다. · 표본분포로 자유도에 의해 구체적인 분포가 결정됩니다. · 자유도(degree of freedom)라는 하나의 파라미터를 가지며, 이 파라미터에 따라 분포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
자유도(degrees of freedom)
자유도(degrees of freedom) · 통계적 추정을 할 때 표본자료 중 모집단에 대한 정보를 주는 독립적인 자료의 수를 말하며 · 추정해야 할 미지수의 개수를 내가 가진 정보의 수에서 뺀 값을 의미합니다. · 표준편차나 분산을 구할 때 자유도가 n-1인 이유는, 내가 가진 정보의 수는 n이고 내가 추정해야 할 미지수는 모집단 평균 1개가 되므로 n-1이 됩니다. http://bit.ly/3btYtMy http://bit.ly/38l0g4F 숫자 5개의 평균이 3이 되어야 하는 조건
-
t 통계량
t 통계량가우시안 정규 분포(Gaussian normal distribution)로부터 얻은 N 개의 표본 x1,⋯,xN 에서 계산한 표본평균을 표본표준편차로 정규화한 값을 t 통계량이라고 합니다.
-
다항 분포(Multinomial distribution)
다항 분포(Multinomial distribution) 독립적인 카테고리 분포를 여러번 시도하여 얻은 각 원소의 성공횟수 값들이 다항 분포가 됩니다.
-
밀도 추정(Density Estimation)
밀도 추정(Density Estimation) · 통계학에서 다루는 용어로 데이터와 변수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 데이터로 부터 변수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의 밀도(확률)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Density_estimation
-
카테고리 분포(Categorical distribution)
카테고리 분포(Categorical distribution) · 베르누이 분포의 확장판입니다. · 베르누이 분포는 0 이나 1(또는 -1 이나 1)이 나오는 확률변수의 분포로 동전을 던져서 나오는 경우 동전을 던져 나오는 결과를 묘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동전이 아닌 주사위를 던져서 나오는 경우를 묘사할 때는 카테고리 분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분포는 1부터 K까지의 K 개의 정수 값 중 하나가 나오는 확률변수의 분포입니다. 따라서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눈금의 수는 K=6 인 카테고리 분포가 됩니다. · 카테고리 분포를 가진 확률변수는 원래 카테고리인 스칼라 값을 출력하는 확률변수지만 1과 0으로만 이루어진 다차원 벡터로 변형하여 사용합니다. 이러한 인코딩 방식을 원-핫-인코딩(One..